새마을금고 평년 대비 3배 충당금
새마을금고 평년 대비 3배 충당금
건전성 우려로 지난해 뱅크런(대규모 인출사태)을 겪었던 새마을금고가 평년 대비 3배 수준의 충당금을 쌓는다.
6월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올해 연말까지 1조8000억원 규모 충당금을 신규 적립하기로 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적립액(6000억원)의 세배에 달하는 수치이다. 작년 뱅크런 사태 등에 대비하기 위해 이례적으로 1조2000억원이나 쌓았는데, 올해는 이보다도 50% 많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새마을금고가 쌓아둔 총 대손충당금은 5조4000억원 이다.
6월14일 매일경제 기사에 따르면 “새마을 금고는 부동산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의 영향으로 상호금융업계에서 연체율을 비롯한 건전성이 악화되면서다. 충당금 확대를 통해 손실 흡수능력을 높이고 이용자·시장의 신뢰 하락을 막으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금융당국은 7월 말까지 금융권에 각 PF의 사업성을 재평가하라고 주문했다.
새마을금고가 충당금을 크게 늘리는 것은 부실·연체율 증가에 대비해 손실흡수력을 높이려는 것이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2022년 말 3.59%이던 것이 PF부실 등의 영향으로 작년말 5.07%로 높아졌다. 올 1분기 말에는 7% 중반까지 높아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새마을금고를 제외한 다른 상호금융들의 작년 말 연체율은 2.97%였고 올 1분기 말은 4%대 중반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부동산 관련 PF대출에 대해 엄격한 담보인정비율을 적용했고 채권 선순위인 것도 많아 경·공매로 처분되더라도 원금 회수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양평군 관내 2금융권인 새마을 금고,신용협동조합, 농협 등도 철저하게 채권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금융관계자의 작은 실수가 금융권의 부실을 가져 올 수 있고 부실이 양평군 전체 경제를 엉망으로 만들 수 있다. 고금리로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부동산 시장을 고려하면 추가 제2금융권의 손실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고, 이에 따라 충당금 적립을 늘려 부실확대에 대비해야 한다.
한편 부천시의 한 새마을금고에서 건설사에게 불법 대출을 해 준 의혹이 제기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6월17일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새마을금고법 위반, 업무상 배임 혐의 등으로 고발된 부천시의 한 새마을금고 이사장 A씨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로 고발된 건설사 관계자 B씨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연체율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신협에 대해 검사를 돌입했다.
20일 금감원은 이달 초부터 대전 서구에 위치한 신협중앙회에 대한 수시검사를 착수했다. 연체율과 부실채권 정리 상황을 집중적으로 들여다 본다는 방침이다.
신협의 지난달 연체율은 6%대 후반으로 지난해 말 3.63%대비 약 3%p 치솟은 것으로 전해졌다. 2023년말 기준 신협의 총자산 규모는 149조7000억원 수준으로, 농협·새마을금고에 이어 국내 상호금융권 3위권 수준이다.
이와 관련 신협은 내달 중 부실채권 관리 전문 자회사(KCU NPL대부)를 설립해 건전성 관리에 나설 계획이며, 앞서 금융위는 신협중앙회의 KCU NPL대부에 대한 100억원 규모의 출자를 승인한 바 있다.
대손충당금(貸損充當金,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이란 회수불능채권을 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계 계정이다. 간단히 말해, 돈을 빌려주었는데 돌려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추후에 돌려받을 수도 있고 떼일 수도 있지만 현 시점에서는 떼인 것으로 잠정 결정하고 대손충당금 항목에 넣는 방식으로 사용한다.[1] 즉 회수 불능으로 추산하는 금액이 들어가는 계정으로, 이는 금융기관이나 대부업의 회계처리에서 중요한 계정이기도 하다.